1. 분석 요소 입력 건물(공동주택), 인접대지 경계선, 채광창등 분석 요소들을
3D 도형으로 그리고 건물 도형들을 건물 도면층에 단위 공동 주택 단위로 등록합니다, 채광창 도형들을 해당 건물의 외벽에 투영시킨
후 단위세대 도면층에 세대별로 등록합니다.

<왼쪽 : 단위세대 등록창, 오른쪽 : 선택된 단위세대에 등록할 채광창들을 선택한 상태>
2. 단위세대의 정보 입력
채광률 분석을 위해서는 단위세대별 전용면적 및 세대수 입력이 필수적입니다.
3. 단일 채광창 인동거리 분석
빛환경 분석에 필요한 채광창 벽면의 대향동
인동거리, 방위별인동거리, 면적, 방위등을 계산할 수 있고 직관적 이해를 돕기 위해 3차원 그래픽으로 인동거리 상황을 표시하여 줍니다. 대향동 인동거리/부부높이(파란색)과 방위별 인동거리/부분높이(인지경계선과
접하는 영역은 빨간색, 건물에 접하는 영역은 어두운 빨간색, 측정점 기준으로 평면도 상에서 반시계 방향 순서) 및 실제 거리 및 건물의 부분높이가 미터 단위로 작업창에
표시됩니다.
<선택된 채광창의 인동거리의 상세 내역; 인지경계선에 접하는 경우에 빨간색으로 강조>
<선택된 채광창의 인동거리를 작업 화면에 3차원 그래픽으로 표시하는 모습>
4. 단위 공동주택 인동거리 분석 선택된 단위 공동주택의 최소 대향동 인동거리 및 방위별 최소 평균 인동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직관적 이해를 돕기 위해 선택된
인동거리에 대해 3차원 그래픽으로 인동거리 상황을 표시하여 줍니다. [대향동] 인동거리를 선택하면 대향동
인동거리 내역 표시 대화창과 함께 대향동 인동거리/부부높이(파란색)가 3차원 그래픽(최소 대향동
인동거리는 파란색, 다른 방위별 최소 대향동 인동거리는 어두운 파란색)으로
표시됩니다.
<선택된 건물의 방위별 인동거리 내역; 인접대지경계선에 접하는 동 인동거리는 빨간색으로 강조>
<선택된 건물의 최소 대향동 인동거리와 다른 방위별 최소 대향동 인동거리의 3차원 그래픽>
방위별 인동거리를 선택하면 방위별
인동거리 내역 표시 대화창과 함께 방위별 인동거리/부분높이가 3차원 그래픽(인지경계선과
접하는 영역은 빨간색, 건물에 접하는 영역은 어두운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
<선택된 건물의 남동향 방위의 인동거리 내역; 인지경계선에 접하는 경우에 빨간색으로 강조>
<선택된 건물의 남동향 방위의 인동거리의 3차원 그래픽>
또한
선택된 건물의 모든 인동거리와 부분높이의 구성 Polyline들을 DXF 파일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선택된 건물의
채광창 Mesh, 모든 건물의 Mesh, 인접대지 경계선 polyline을 함께 저장하고 도면층으로 구분하였으며,
방위각을 시스템 변수
UserR5에 저장하여 인동거리
검증 작업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습니다.
<단위공동 주택별 인동거리 DXF파일을 AutoCAD에 로드한 상태>
인동거리 배치도 DXF 파일에 인동거리 상세 내역을 포함시켜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인동거리 상세 내역을 포함한 단위공동 주택별 인동거리 배치도 DXF파일을 AutoCAD에 로드한
상태>
인증기관에서 요구하는 형식의 인동거리비 명세표를 엑셀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인동거리비 엑셀 파일중에서 방위별 인동거리비>
5. 공동주택 단지의 빛환경 분석 단지에 대한 빛환경 분석 기능을 통해 "공동주택단지에 대한 빛환경분석"
창을 통해 빛환경 산출 계산서를
보여주며 작성자 정보를 입력/보존 가능하며 바로
표준 양식에 반영됩니다.
<공동주택단지에 대한 빛환경분석 창>
채광률 산출 계산서 및 단위공동주택 채광률 산출표를 주택성능등급제 공식 엑셀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빛환경산출계산서를 공식 파일에 저장한 예>
<단위공동주택 채광률 산출표 예>
또한 공동주택별 채광률의 [산출표보기] 버튼을 선택하면 "공동주택
채광률 산출표"
창에 세부 내용이 표시 됩니다. 단위세대 정보에서 단위세대의 전용면적, 세대수를 수정할 수 있으며 전용면적, 세대수를 수정하면
채광률에 즉각 반영 됩니다.
<공동주택 채광률 산출표 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