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편각 계산

- 도편각은 지도상에서 도북과  진북이 이루는 각도를 말하며, 

     수치지도를 사용하는 경우, 도엽의 도편각을 찾기 어렵고 일조 분석은 분석 지점에서의 진북을 반영해야

      하므로 특정 지점에서의 도편각을 계산할 필요가 있음.  

- 우리나라 수치지도는 GRS80타원체 기준 TM 좌표계를 사용하여 작성되며, 좌표계 원점으로

     4개의 기준 원점(경도 2˚ 간격)을 사용하고, 각 원점은 경도 ±1˚ 범위 내 지역 도엽들의 기준원점이 됨.

     
기준원점 위치(위도,경도)  적용 범위(경도) 해당 도엽 번호
세번째 숫자
서부원점 38˚N, 125˚E 124˚E ~ 126˚E  (4,) 5
중부원점 38˚N, 127˚E 126˚E ~ 128˚E  6, 7
동부원점 38˚N, 129˚E 128˚E ~ 130˚E  8, 9
동해원점 38˚N, 131˚E 130˚E ~ 132˚E  0, 1

   도엽 번호의 세번째 숫자로 기준 원점을 알 수 있는데, 번호가 "336071100"이면 중부원점이 기준 원점임.

   모든 도엽은 기준 원점 경도의 ±1˚ 범위 이내에 있으므로, 원점의 수직축(도북)에 대한

      도편각은 1˚ 보다 작고, 그 방위는 기준원점 좌측 도엽은 "E", 우측 도엽은 "W"가 됨.

   인터넷 등에서 도편각이 1˚ 보다 큰 자료를 볼 수 있는 데, UTM 좌표계(기준 원점 경도 : 123˚, 129˚) 등을

      기준으로 한 경우로, 현행 수치지도와 기준원점이 달라 사용 도엽을 해당 죄표계로 변환 후 적용 가능.

- 도편각 계산에는 우리나라 수치지도 기준 따라 작성된

   "세계측지계 기술지침서.pdf" (국토지리정보원 2004. 12.)의 자오선 수차각 공식(46 페이지)을 사용하였음

      (참고 자료 : "우리나라 국가기본도의 편차도표에 관한 연구", 김용일, 박경환).

     
 도편각 계산
 분석 지점의 위치

    위도 N    경도 E     

 도편각 계산 기준 원점

   입력 방법 : 수치지도 기준원점 선택 임의의 기준원점 경도 입력

    기준원점 선택

    기준원점 경도 E

 도편각 계산

       

   도편각 

 

쌔널리스트에서 도편각 적용

   일조 분석에 사용되는 북쪽은 진북으로, 도북을 도편각만큼 회전하여 진북을 찾을 수 있음,

   쌔널리스트에서 도편각을 이용하여 진북의 방위각을 설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음 .

   1. 수치지도 도엽(미터 단위)을 CAD에서 밀리미터 단위로 스케일(1000배) 후 DXF(Release 13 ASCII)로 저장.
      도면 범위(EXTMAX, EXTMIN)가 원점 기준 반경 100KM를 벗어나는 경우, 도면을 원점 근처로 이동한 후 저장.

   2. 쌔널리스트에서 DXF 파일을 원점에 불러 들임.

   3. 위 "도편각 계산" 테이블에서 분석 지점(일조 분석 조건의 위/경도)이 속한 도엽의 기준원점 기준 도편각을 계산.

   4. 도엽의 도면이 회전 변형된 적이 있으면,
         적당한 위치에 도북(분석 지점이 속한 도엽의 기준 원점의 Y축) 선을 그림
      아니면,
         도북 선과 Y축이 일치하므로, 단계 7로 이동하여 도편각을 방위각으로 입력.

   5. 도북 선을 도편각 만큼 회전시켜 진북 선을 그림.

   6. 진북 선과 Y축 사이 각도 측정.

   7. 그 각도를 일조 분석 조건의 "방위각" 항목의 값으로 입력.

   8. 방위각의 방위는 평면도 상에서,
        진북 방향이 +Y축(북쪽)에 대해 -X축(서쪽)으로 향하면 "W", +X축(동쪽)으로 향하면 "E"를 선택.